프랑스 부르고뉴 와인 총정리


부르고뉴 와인





  • 북쪽: 샤블리
  • 중반부: 코뜨 도르, 코뜨 샬로네즈, 마코네
  • 남쪽: 보졸레

중반부 지역 (중심 지역)

  • 코뜨 도르: 포도가 익어 갈때 쯤 황금을 의미 or 큰 수익성을 준다는 점
  • 부르고뉴의 심장이라 불리는 만큼 중요한 생산지역
  • 피노누아와 샤르도네가 주로 생산되는 지역

라벨 특징

  • 지역명과 마을, 밭이름이 표기되어 있는 경우가 대 다수
  • 42개의 생산 마을 / 600여개의 프리미에 크뤼 밭 / 32개의 그랑 크뤼 밭


등급 (벤다이어그램)

  • 지역: 특정 마을이나 밭이 아닌 부르고뉴 지역 전체에서 생산된 포도
  • 마을: 42개의 각 마을에서 수확한 포도에서 만들어지고 생산량의 35~45%
  • 포도밭
    -> 하위등급: 프리미에 크뤼 (약 600여개) - 약 10% 내외
    -> 상위 등급: 그랑 크뤼 (32개 + 1 샤블리) - 약 1% 내외



꼬뜨 도르 지역 분류

코뜨 드 뉘 -> 지브리 샹베르떙, 샹볼 뮈지니, 부조, 본 로마네, 플라제 에세죠

코뜨 드 본 -> 알록스 코르통, 포마르 볼네, 본, 뫼르소, 퓌리니 몽라셰, 샤샤뉴 몽라쉐

  • 꼬뜨 도르 안에 속해 있는 행정구역으로 석회질, 이희토, 침적토 기반 토양
  • 화이트 점유율 80% -> 몽라쉐, 뫼르소, 코르통 샤를마뉴 (모두 세계 최고 인지도)
  • 알리코테 품종는 크레망 드 부르고뉴로 발포성 와인의 소수 존재
  • 레드 와인 생산 20% -> 뽀마르(Pommard), 볼네이

꼬뜨 드 본 세부 지역 설명

  • 몽라쉐 지역 와인의 경우 풀리뉘와 적힌 경우 화이트 와인으로 오크 숙성을 하는 양조방법으로 유명하고 샤샤뉴 몽라쉐는 피노 누아 단일 품종 레드 와인임 (라벨에서 해당 문구를 확인할 것)
  • 뫼르소 지역은 너트와 고소한 느낌을 많이 나는 샤르도네 와인
  • 꼬르통 샤를마뉴는 샤를마뉴 대제가 살아 생전에 즐겨 마시던 와인


보졸레 지역

  • 보졸레 지역의 보졸레 누보 와인은 햇와인으로 짧은 숙성 기간을 가짐
  • 화강암, 진흙, 석회암 구조 토양
  • 가메이(Gamay) 품종으로 연하면서 탄산가스 침용방식으로 양조 (이산화탄소를 밖으로 배출 시키지 않고 침투한 포도 알갱이를 넣어 발효시켜 탄산의 느낌을 만들어냄)
  • 9월 중순에 수확된 포도를 4~6주 정도 숙성
  • 중세에 잊혀졌다가 80년대에 '조르쥬 뒤 바프'에 의해 클론으로 가메이 품종 복원
  • 칠링 가능한 레드 와인
  • 핸드 픽킹을 통해 수확을 진행
  • 가메이 품종은 낮은 탄닌과 가벼운 질감이 특징







포스팅 내용 관련하여 문의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Should you have any questions or need further information, 
you are very welcome to put your comments below.

We will shortly get back to you. 

Thank you.



Comments